Surprise Me!

한때 '유사시 군사개입' 조약...그간 북러 관계는 [앵커리포트] / YTN

2024-06-18 0 Dailymotion

그보다 앞서 북한과 러시아는 한때 '유사시 군사개입'까지 약속했을 정도로 가까웠다가도, <br /> <br />또 조약 폐기를 일방적으로 통보하는 등 소원해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동안 양측이 어떤 과정을 겪어왔는지, <br /> <br />또 이번에 주목할 부분은 어떤 점인지까지 살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1961년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소련은 북한과 조선과 소련, 즉 '조소' 우호협조 및 상호원조 조약'을 체결했는데요. <br /> <br />유사시에 한쪽이 다른 한쪽에 군사 지원 등을 할 수 있는 이른바 '자동군사개입' 포함된 약속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소련이 해체된 이후인 1990년대, 당시 극심한 경제위기를 겪던 러시아가 사회주의 경제체제를 포기하고 시장화를 꾀하는 과정에서 우리나라 김영삼 대통령이 러시아를 방문해 이른바 '조소동맹' 폐기를 요구한 바 있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 러시아는 1996년 북한에 조약 폐기를 통보하기에 이르렀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다 2000년, 푸틴이 북한을 방문하기 5달 전 서로 '우호-선린협조 조약'을 체결하지만 앞서 있던 자동군사개입 항목은 삭제된 낮은 단계 약속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후 2000년 푸틴 대통령의 방북과, 2001년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러 과정에서 '북러 공동선언'과, 시베리아횡단철도 사업 협력안 등이 담긴 '북러 모스크바 선언'이 각각 채택됐는데, <br /> <br />군사 협력과 관련한 유의미한 내용은 포함되지 않은 차원이었는데요. <br /> <br />이후, 양측은 두드러진 교류를 해오지 않고 있다가 북한이 한창 미사일 기술개발과 시험을 추진해오고 있던 2019년과 2023년, <br /> <br />김정은이 잇따라 러시아를 방문하고 이어 러시아 측 기술관료들이 북한을 방문하는 모습이 잇따라 포착되면서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ICBM을 비롯한 첨단기술을 전수받을 거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현재 러시아가 길어지고 있는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무기와 젊은 노동력까지 크게 부족한 상황 속에 <br /> <br />북한이 필요로 하는 요구사항을 상당수 수용할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나아가 과거 1960년대, 양측이 맺었다가 현재는 폐기된 '유사시 자동군사개입' 약속까지 언급될지가 주목되고 있어서 <br /> <br />특히 미국과 우리나라, 그리고 중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에서 특히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희재 (parkhj0221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40619081547586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